본문 바로가기

범죄학 범죄심리23

칸터의 수사 심리학 모델 칸터(David Canter)에 의해 사용된 방법은 FBI에 의해 사용된 방법과 비슷하며, 그것들은 본질적으로 두 가지 모두 통계기법을 사용한다. 가장 큰 차이점은 칸터는 그의 이론에 기초한 범죄자 집단 데이터베이스를 계속해서 갱신한다는 것이다. 통계에 의하여 알려진 범죄자 집단들을 연구하고, 광범위한 범죄자 그룹들은 정의되고, 알려지지 않은 범죄자의 범죄들은 이러한 그룹과 비교된다. 이것은 비교 범죄자 그룹들과 그들의 유사성 때문에 알려지지 않은 범죄자가 가졌을 법한 특성들의 리스트를 만들어 낸다. 수사 심리학의 기원인 영국 리버풀대학의 칸터가 심리학적 개념을 토대로 스코틀랜드 대학에서 수사 기술의 통합 가능성을 논의하던 1985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당시 칸터 교수는 이것을 가르칠 수 있을지.. 2023. 9. 14.
FBI 중심의 범죄 현장 분석 모델과 이분법 1979년부터 1983년 사이, BSU 요원들은 교정시설 방문과 배경 조사, 범죄 현장, 피해자, 범죄들에 대한 범죄자 인터뷰를 수행하는 등의 연구를 실시했다. 그들은 또한 법정 문서, 정신병리학, 범죄기록 또는 경찰보고서와 같이 더욱 공적인 정보를 이용했다. FBI 범죄 현장 분석은 그들의 프로파일링 프로세스로 구성된 여섯 단계로 나뉜다. 이 단계들은 자료의 입력, 범죄평가, 범죄자 프로파일, 수사 그리고 체포를 포함한다. 각 단계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자. 프로파일링 입력단계 흔히 자료 융합 단계로 불리고 있다. 가능한 한 많은 출처로부터 활용할 수 있는 모든 자료를 수집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이 단계는 물리적 증거, 범죄 현장 사진, 증인의 증언, 희생자에 대한 방대한 정보, 검시 보고서, 검시 .. 2023. 9. 13.
연역적 프로파일링의 정의와 장단점 1. 연역적 프로파일링의 정의 Turvey: Turvey가 연역적 범죄자 프로파일링을 정의한 바에 의하면, "범죄 현장의 사진에 담긴 것과 같은 검시 보고서, 검시 사진, 법과학적 증거의 해석, 가해자 연구를 통한 피해자학, 특별한 범죄자의 범행 행동에 대한 완벽한 재구성 그리고 이러한 개인의 패턴으로부터 범죄자의 동기와 감정, 성격을 기술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Geberth: 이 기법들은 "물리적인 증거, 피해자 그리고 중요한 범행동기를 잘 보여주고 있는 범죄 현장을 통하여 범죄자의 행동을 파악하고, 그러한 특별한 범죄자의 동기를 알아내는 것이며, 행동 패턴에 관한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논의에 견고하게 기초한 논리적 설명이다."라고 한다. 즉, 연역적 프로파일링은 일정한 범죄 사건 또는 일련의 범죄.. 2023. 9. 13.
프로파일링의 귀납적 접근 방법 1. 프로파일링의 두 가지 접근방법 범죄자 프로파일링 기법을 발전시켜 온 데에는 크게 두 가지의 서로 다른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하나는 귀납적(inductive) 방법, 다른 하나는 연역적(deductive) 접근 방법이다. 프로파일링에 대한 두 가지 접근방식은 공개적으로 개념 정의된 바가 있다. 귀납적 방법: 미국 연방수사국 FBI 행동과학부를 중심으로 1970년대 중반부터 발표된 여러 권의 책들과 여러 편의 논문에서 유래된 방식 연역적 방법: 영국의 심리학자들에 의하여 1980년대 중반 이래 프로파일링에 관하여 발표된 저작물들이 이에 해당한다. FBI 식과 영국식은 각자의 방식대로 발전되어 왔다. Turvey는 미국에서 본질적으로 다른 두 가지 형태의 프로파일 기법이 범죄 수사를 담당한 법 집행관들.. 2023. 9. 12.